543 |
- 산부인과 분만 중 태아 사망과 의사 금고형 선고
-
산부인과 분만 중 태아 사망과 의사 금고형 선고법무법인 세승변호사 김선욱To err is human, to forgive, divine. 영국시인인 알렉산더 포프(Alexander Pope)가 남긴 유명한 말이다.
‘실수는 인간의 몫이고 용서는 신의 몫이다’라고 해석한다. 그렇다 우리는 실수 할 수 있고 어찌 보면 실수투성이 인간이다.
실수는 예상치...
|
김선욱 |
6,588 |
2017.07.11 |
542 |
- 의약품 부작용 피해와 의사의 책임
-
의약품 부작용 피해와 의사의
책임
법무법인 세승
변호사 현 두 륜
얼마 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발열과 설사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타이레놀 등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제를 2일씩 2회에 걸쳐 처방한 이비인후과 의사에게 약물로 인한 부작용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한...
|
현두륜 |
6,779 |
2017.06.27 |
541 |
- 불법 의료광고
-
불법 의료광고 법무법인 세승변호사 신태섭 헌법재판소는 의료광고와 관련하여 과거 두 차례의 위헌결정을 내린바 있다. 첫 번째 결정은 의료법상 원칙적으로 금지됐던 의료광고가 표현의 자유, 직업수행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하여 위헌결정을 내린 사례이다.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인하여 정부는 의료광고에 대해 예외적 금지사유를...
|
신태섭 |
6,615 |
2017.06.21 |
540 |
|
김선욱 |
6,962 |
2017.06.13 |
539 |
- 병원 내 의료인 폭력 근절을 위한 대책
-
병원 내 의료인 폭력 근절을 위한 대책 법무법인 세승 변호사 김선욱 폭력(暴力)은 유형적인 신체손상이나 무형적인 심리압박을 초래하는 강제력을 말한다. 법은 타인에게 상해를 입...
|
김선욱 |
7,032 |
2017.05.24 |
538 |
- 인공지능 적용 의료기술 도입과 관련 의료분쟁의 발생 가능성
-
인공지능 적용 의료기술 도입과 관련 의료분쟁의 발생 가능성 법무법인 세승 조진석 변호사/의사 2010년대 이후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율주행자동차의 주요 기술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
조진석 |
6,899 |
2017.05.23 |
537 |
- 임의비급여 분쟁은 현재 진행 중
-
법무법인 세승현 두 륜 변호사 현행 국민건강보험 법령에 따르면, 요양급여대상 뿐만 아니라 비급여대상 역시 건강보험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만 인정된다. 비급여대상 중에서 법령에서 인정하는 비급여를 “법정비급여”라고 한다. “법정비급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요양기관이 이를 비급여로 처리하여 그 비용을 환자로부터 받는 경우가...
|
현두륜 |
8,079 |
2017.05.17 |
536 |
- 의료인 명찰 패용
-
의료인 명찰 패용 신태섭 변호사(법무법인 세승) 지난 2016년 의료기관의 장은 환자와 보호자가 의료행위를 하는 사람의 신분을 알 수 있도록 의료인, 학생,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등에게 의료기관 내에서 명찰을 패용하도록 하는 내용의 「의료법」이 개정된 바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의료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구...
|
신태섭 |
6,449 |
2017.05.11 |
535 |
- 건보법상 요양기관 과징금 처분 이대로 괜찮을까
-
법무법인 세승한 진 변호사 국민건강보험법 제99조는 요양기관 업무정지처분이 해당 요양기관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되면, 업무정지 처분을 갈음하여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부담하게 한 금액의 5배 이하의 금액을 과징금으로 부과·징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국...
|
한진 |
7,471 |
2017.05.08 |
534 |
- 전자의무기록, 올바르게 전자서명하지 않으면 무용지물
-
전자의무기록, 올바르게 전자서명하지 않으면 무용지물 법무법인 세승변호사 조우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병원의 진료기록 작성방법도 변화하고 있다. 2002년 의료법 개정에 의하여 진료기록을 전자서명이 기재된 전자문서로 작성·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게 되었고 실제로 종이에 작성하여 보관하던 진료기록이 전자기록으로 빠르게 대체...
|
조우선 |
6,931 |
2017.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