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법인 소개

기고문/칼럼

기고문/칼럼
번호 제목 변호사명 조회 날짜
33
img
의료사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의료사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현두륜 변호사 1. 서설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쟁은 매우 다양하다. 이를 유형화하면, 1) 의료사고로 인한 민·형사적인 분쟁, 2) 진료비(건강보험 및 자동차보험 진료비 포함) 부당청구로 인한 민사·형사·행정적 분쟁, 3) 의료관련 법령 위반으로 인한 형사 고발 또는 행정처분, ...
현두륜 6,147 2010.01.29
32
img
‘순회진료’ 보험청구의 법적인 문제
  ‘순회진료’ 보험청구의 법적인 문제 대외법률사무소 변호사 김선욱 최근에 네트워크병원이다 프랜차이즈 병원이라고 해서 브랜드를 같이 쓰며 진료하는 병원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경우 대게는 브랜드만 공유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곳의 병원을 돌면서 이른바 ‘순회진료’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의료법상 의사는 원칙적으로 개설한 의료...
김선욱 5,965 2010.01.29
31
img
약제비 판결에 대한 올바른 이해
  약제비 판결에 대한 올바른 이해 대외법률사무소 현 두 륜 변호사  8. 28. 서울서부지방법원은 건강보험공단이 부당하게 환수해간 원외처방 약제비를 병원에 돌려주라는 판결을 선고하였다. 현재 서부지방법원에는 유사한 소송이 30여건 계류 중인데, 그 중 제일 먼저 소송을 제기한 이원석 원장과 서울대학교병원 사건에 관한 판결...
현두륜 5,788 2010.01.29
30
img
의료민사소송의 쟁점
  의료민사소송의 쟁점 대외법률사무소 최재혁 변호사 1. 서론 의료소송은 그 전문성과 비공개성으로 인해 다른 소송에 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사고는 사람의 생명·신체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의사와 환자는 감정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고 결국에는 부득이 소송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
최재혁 5,922 2010.01.29
29
img
요양급여기준이 강행법규인가?
  요양급여기준이 강행법규인가? 현두륜 변호사 1. 문제의 소재  ‘요양급여기준’이란 국민건강보험법 제39조 제1항 각호에서 정하고 있는 요양급여(진찰·검사, 약제·치료재료의 지급, 처치·수술 등)를 행함에 있어 그 방법·절차·범위·상한 등에 대하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정한 기준을 말한다.  동법 ...
현두륜 6,077 2010.01.29
28
img
의료형사사건
  의료형사사건 대외법률사무소 김선욱 변호사 1. 의료형사 사건의 유형 의료형사사건은 크게 형법상 업무상과실치사(상) 사건, 의료법 위반 사건, 형법상 사기(보험청구 사기) 사건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의료과오 민사소송과 연결되어 자주 발생하는 것이 업무상과실치사(상) 사건으로 종래 꾸준히 형사건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의료법...
김선욱 6,200 2010.01.29
27
img
의료소송과 노동능력상실률, 위자료
  의료소송과 노동능력상실률, 위자료 대외법률사무소 최재혁 변호사  얼마 전 TV에서 ‘가슴의 값어치’라는 제목으로 의료재판의 문제점을 지적한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프로그램 내용은, 병원의 실수로 조직검사 결과가 잘못 전달되었고 이를 믿고 유방암으로 오진하고 유방을 절제한 사건에서 향후치료비 1450만원, 위자료 2500...
최재혁 6,143 2010.01.29
26
img
환자 유인과 환자 유치
  환자 유인과 환자 유치 대외법률사무소 장보혜 변호사 1. 들어가며 의료기관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는 각종 광고와 이벤트, 사은품 등을 제공하는 경우 의료법상 금지되는 환자유인에 해당하는 것일까. 의료법과 법원의 태도를 참조하여 금지되는 ‘환자유인’ 행위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2. 의료법 의료법 ...
장보혜 5,635 2010.01.29
25
img
의료인의 복수의료기관 개설
  의료인의 복수의료기관 개설 대외법률사무소 최재혁 변호사 현재 보건복지부에서는, 법률체계의 전면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점(법률체계의 정비), 국민의 다양한 의료수요에 부응하고 의료기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의료법’ 상 각종 규제를 합리화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의료 환경의 변화 수용), 의료현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마...
최재혁 5,032 2010.01.29
24
img
네트워크 병의원 시대의 도래와 의료법 개정
  네트워크 병의원 시대의 도래와 의료법 개정 대외법률사무소 현 두 륜 변호사 얼마 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병의원들이 협의회를 구성하고, 앞으로 네트워크 병의원의 활성화와 회원들의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앞으로 복수개원을 불허하고 있는 현행 의료법에 대한 개정이나, 개정되지 않았을 경우...
현두륜 5,662 2010.01.29